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 RSS 피드 등록 방법

by 네 생각은 뭐니? 2025. 7. 6.
반응형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 RSS 피드 등록 방법

RSS 피드는 블로그의 새로운 콘텐츠를 검색 엔진과 구독자에게 효율적으로 알리는 중요한 도구입니다. 각 플랫폼별로 RSS 피드를 확인하고 등록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티스토리와 블로그스팟 RSS 피드 등록 방법

1. 티스토리 (Tistory) 블로그 RSS 피드 등록 방법

티스토리 블로그의 RSS 피드는 일반적으로 정해진 주소 형식을 따릅니다.

  1. RSS 피드 주소 확인:
    • 티스토리 블로그의 RSS 피드 주소는 보통 https://[내블로그주소]/rss 또는 https://[내블로그주소]/feed 형식입니다.
    • 예시: https://myblog.tistory.com/rss
    • 블로그에 접속하여 주소창에 위 형식을 입력해 보거나, 블로그 하단에 RSS 아이콘이 있다면 클릭하여 주소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구글 서치 콘솔에 RSS 피드 제출:
    •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
    • 좌측 메뉴에서 "색인" > "사이트맵"을 클릭합니다.
    • "새 사이트맵 추가" 섹션에 위에서 확인한 RSS 피드 주소(예: rss 또는 feed 등 / 뒤의 부분만 입력)를 입력하고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 정상적으로 제출되면 상태가 "성공"으로 표시됩니다.

 

 

Tistory 블로그 AdSense 수익 극대화: 광고 설정 최적화 가이드

Tistory 블로그 AdSense 수익 극대화: 광고 설정 최적화 가이드안녕하세요! 오늘은 Tistory 블로그를 운영하시는 분들을 위해 AdSense 수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광고 설정 최적화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

ganatoday.kr

 

2. 블로그스팟 (Blogspot) 블로그 RSS 피드 등록 방법

블로그스팟은 구글 서비스이므로, RSS 피드 주소가 정해져 있으며 구글 서치 콘솔에 제출하는 방법도 간단합니다.

  1. RSS 피드 주소 확인:
    • 블로그스팟 블로그의 RSS 피드 주소는 일반적으로 https://[내블로그주소].blogspot.com/feeds/posts/default 형식입니다.
    • 예시: https://myblog.blogspot.com/feeds/posts/default
    • 이 주소는 블로그의 모든 게시물에 대한 RSS 피드를 제공합니다.
  2. 구글 서치 콘솔에 RSS 피드 제출:
    • 구글 서치 콘솔에 접속하여 로그인합니다.
    • 좌측 메뉴에서 "색인" > "사이트맵"을 클릭합니다.
    • "새 사이트맵 추가" 섹션에 블로그스팟 RSS 피드 주소에서 https://[내블로그주소].blogspot.com/ 부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예: feeds/posts/default)을 입력하고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 또한, 블로그스팟은 sitemap.xml도 사이트맵으로 사용 가능하며, atom.xml?redirect=false&start-index=1&max-results=500과 같은 주소도 최근 게시물에 대한 RSS 피드 역할을 하므로 함께 제출하는 것이 좋습니다.
    • 제출할 주소 예시 (블로그스팟):
      • feeds/posts/default
      • sitemap.xml
      • atom.xml?redirect=false&start-index=1&max-results=500 (최근 500개 게시물)
    • 각각 입력 후 "제출" 버튼을 클릭합니다.
    • 정상적으로 제출되면 상태가 "성공"으로 표시됩니다.

 

 

구글 계정 두 개로 각각 다른 사이트를 애드센스에 신청한다면

구글 계정 두 개로 각각 다른 사이트를 애드센스에 신청한다면티스토리와 워드프레스 블로그 모두를 한 개의 구글 계정으로 애드센스에 신청하고 운영하는 것은 구글 정책상 올바른 방법입니

ganatoday.kr

 


참고: RSS 피드를 제출한 후 구글이 이를 처리하고 색인하는 데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구글 서치 콘솔에서 주기적으로 상태를 확인하여 정상적으로 작동하는지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